KOREAN | ENGLISH
Home > Poeple > 교수진

교수진

  • 주세형 교수

    Tel 02-705-4721
    Email forkid@sogang.ac.kr
    Specialty 한국어교육학, 국어교육학, 교육학
    Room No. J723
프로필

∙글로벌한국학부 한국어교육 전공 주임교수

∙LINC 3.0 주임교수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주임교수

 
약력
  •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대학원(교육학 박사) 1999.03 ~2005. 0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대학원(교육학 석사) 1997.03. ~1999.0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992. 03~1997. 02 (국어, 영어 2급 정교사 자격증)

     

    경력 

    ∙서강대학교 교수 2018. 03 ~ 현재 

    ∙서강대학교 부교수 2013.03. ~ 2018. 02.

    ∙서강대학교 조교수 2009.03. ~ 2013. 02

    ∙서원대학교 조교수 2007.03. ~ 2009. 0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2005. 03 ~ 2007. 02

     

    학술 활동 

    ∙한국어교육학회 제70주년 기념사업단장(2023.10 ~2025.08)

    ∙ 한국국어교육학회 편집위원장 

    ∙ 국어교육학회 편집위원장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편집위원장

    ∙ 국어국문학회 부회장 (현)

    ∙ 한국국어교육학회 부회장 (현)

    ∙ 독서학회, 작문학회, 문법교육학회, 한국어학회, 국립국어원 새국어생활 등 편집위원

  •  

    특기사항

    2013년 동아일보 인문사회계열 영향력 평가 <한국어문학 분야 10위> 

    ∙ 해암학술상(2012. 1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 200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2007. 01. <문법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연구내용

연구 개발 과제

∙맞춤형 한국어 진단평가를 위한 기반 구축, LINC 3.0 산학기술공동개발과제 

∙체계기능언어학 기반 학령기 학습자의 관념적 의미 체계 발달 연구(2019~2021. 학술진흥재단 일반공동연구)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SW 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2018.03. ~ 2018.10. KAIST K-Valley RED&B사업)

∙2018 STAR 최고위과정(스포츠산업융합분야 CEO 육성아카데미 2018.9~2019.02. 문화체육관광부)

∙과학 분야 텍스트의 장르 문법적 접근(2017.08. ~2018.10. 학술진흥재단)

∙STAR 최고위과정(스포츠산업융합분야 CEO 육성아카데미 2017.04.~2017.11. 문화체육관광부)

∙STAR 최고위과정(스포츠산업융합분야 CEO 육성아카데미 2015.07.~2015.12. 문화체육관광부)

∙한글 맞춤법 영향 평가(2014.04.~2014.12. 국립국어원)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 연구회(2011.07. ~2012. 06. 학술진흥재단)

∙창의·인성거점센터운영(2011.6~2012.04 한국과학창의재단)

∙공공언어 요건 정립 및 진단 기준 개발 연구(2010.02.~2010.12 국립국어원)

∙문법 영역 평가 체계화를 위한 기초 이론 연구(2008.07.~2009. 06. 학술진흥재단)

∙매체언어 교육 내용의 교재 개발 방향 및 학습 활동 구성 방식(2007.09~2008.08. 학술진흥재단)

∙한국 근현대 민족 어문 교육 기초 연구(2004.09~2006.02. 학술진흥재단)

 

기술 이전

∙맞춤형 한국어 진단평가를 위한 기반 구축 노하우, 케이크주식회사(2023.06) 관련특허T2023-0016

 

자문 

㈜ 투블럭에이아이/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학창의재단/국립국어원에서 다수.

 

출간 논문

∙양수연, 고유라, 신효정, 주세형(2023), 생성형 인공지능은 교사의 교육적 질문 생성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가-ChatGPT가 생성한 읽기 질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새국어교육135. 

∙주세형(2023), 주시경 선생님과 그 시대의 한글 발전, 대만 교육부 주최 ‘한자와 언어 표기’ 국제학술대회 심포지움 발표논문(해외 출간 중). 

∙이관규·주세형·신희성·정지현·정혜현·노하늘(2022), Transitivity Profiling as Indicators of Students’ Experiential Metafunction Development: Statistical Comparis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국어교육학연구57(5). (in English)

∙주세형·남가영(2022), 체계기능언어학(SFL)을 통한 국어교육의 지평 확장, 국어국문학200. 

∙강효경·주세형(2022), 논증 능력 발달을 위한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 - 대학생 쓰기 자료에서 주어 ‘나’ 실현 양상으로 본 ‘주관의 객관화’ 관찰을 기반으로, 작문연구52. 

∙주세형(2021),국어교육의 새로운 내용론 - 학습의 본질 구현을 위한 초학문 융합 패러다임 설계 -, 국어교육174. 

∙소지영·주세형(2021), 중등 과학 교과서에서의 정의문 기능 연구 - 국어과 설명하기 성취기준의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하여 -, 국어교육172. 

∙강효경·주세형(2020), 문법 교육에서 주어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55(3). 

∙박진희·주세형(2020), ‘건의하는 글’에 나타난 필자와 독자의 의사소통 방식 연구 -필자의 스탠스 조정과 평가어 선택의 양상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77. 

∙주세형 외(2020), 초등학교 4, 5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대기능 발달 연구 - 과정 유형 및 참여자 구성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32. 

∙주세형·남가영(2019), 핵심 질문 중심으로 본 국어과 평가의이론적 모형 연구-읽기 선택형 평가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121. 

∙주세형·소지영(2018), 초등학교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언어적 특성 연구-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본질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65. 

∙소지영·주세형·성경희(2018), 중학교급 학습자 서술형 답안의 언어적 특성 연구-사회과 학업성취도평가 서술형 문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161. 

∙소지영·주세형(2017), 과학 교과서의 ‘문법적 은유’를 중심으로 본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본질 탐색, 국어교육연구39. 

∙주세형(2016), <언어와 매체> 교재 구성의 원리 - 문법 영역에서의 통합 원리 탐색을 중심으로 -, 문법교육28.

∙주세형(2016), ‘통일성과 응집성’ 관련 성취 기준에 대한 검토, 한말연구40. 

∙제민경·남가영·이관희·주세형(2016), 왜 기사문을 선택하는가-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기사문 선정 원리 탐색-, 언어학연구39. 

∙조진수·노유경·주세형(2015),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것 같다’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 새국어교육105. 

∙주세형·김남미(2015), ‘음운 체계’가 ‘표준 발음 교육’과 맺는 관계에 대하여 - 교과서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 언어와정보사회26. 

∙주세형·남가영(2015),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18(3).

∙조진수·노유경·주세형(2015), ‘텍스트 표지’ 교육 내용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 국어교육150.

∙이관규·정지현·주세형(2015), <한글맞춤법> 쟁점 조항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 연구, 문법교육23.

∙주세형(2014), 통합적 문법 교육의 전제와 학문론적 의의, 국어교육연구34.

∙주세형·조진수(2014), 독서의 언어학, 청람어문교육52.

∙이인화·주세형(2014), ‘묘사’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학교육학45.

∙주세형·김형석(2014), 전공 글쓰기 교육과정 연구를 위한 쟁점 검토-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언어학연구31.

∙주세형(2014), 국어 교과서 이론은 존재하는가 —국어교육학 이론 체계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49(1).

∙주세형·이미숙·남민우(2012), 국어과 교사의 ‘내용 성취 기준’ 적합성 판단 양상 및 근거에 대하여 ―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139.

∙윤여탁·신명선·주세형(2012), ‘교사의 국어 능력’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연구, 국어교육학연구43.

∙주세형(2011), 평가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사 교육, 문법교육15.

∙주세형·신호철(2011), 국어 어문 규범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의 재구성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급의 위계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28.

∙주세형(2011), 국어과 문법 평가 이론의 발전 방향, 국어교육135.

∙주세형(2010),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새국어교육85.

∙주세형·김은애(2010),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고등학교 독서 수행 평가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4(1).

∙주세형·정지은(2010), 서울 K고 국어과 정기 고사에서의 문법 평가 실태 조사 연구, 언어와정보사회12.

∙주세형(2010),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작문연구10.

∙주세형(2010),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국어교육학연구37.

∙주세형(2009), 문법 능력에 대한 인식 양상 연구 -국어과 평가 문항의 이원목적분류표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40.

∙주세형(2009),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국어교육130.

∙주세형(2009),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의 소위 ‘텍스트 중심 원리’에 대한 비판 -2005~2008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35.

∙주세형(2008),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문법 교수 학습 방법 개발 방향, 청람어문교육38.

∙주세형(2008), 국어과 평가의 타당도 제고를 위한 문법 교육 방향, 문법교육.

∙주세형(2008), 학교 문법 다시 쓰기 (2): '숙련자의 탐구 방법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주세형(2007), 문법 교사의 수업 전문성 평가 모형'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새국어교육 77.

∙주세형(2007), 텍스트 속 문장 쓰기와 문법, 한국초등국어교육34.

∙주세형(2006), 역대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매체 식별 교육내용의 변천 양상과 국어교육사적 함의, 국어국문학143.

∙주세형(2006), 역대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목표 표상성 변천 양상, 국어교육연구17.

∙주세형(2006), 국어지식 영역에서의 지식의 성격과 내용 체계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학연구25.

∙주세형(2006), 국어지식 영역의 규범성 패러다임: 창의성과 균형 잡기, 국어교육119.

∙주세형(2005), 문법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 연구, 국어교육연구15. 

∙주세형(2005), 쓰기 교육에서의 대안적 문장 개념, 어문연구128.

∙주세형(2005), 국어과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독서연구0(14).

∙주세형(2005),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선청어문33.

∙주세형(2005), 문법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 연구, 국어교육연구15.

∙주세형(2005),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방향, 국어교육학연구22.

∙주세형(2005), 내용과 방법으로서의 국어지식 영역의 역할, 한국초등국어교육27.

∙주세형(2005), 문법 교육내용의 설계를 위한 기능 중심성 원리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26. 

∙주세형(2005),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27.

∙주세형(2004), 학교 문법 다시 쓰기, 국어교육학연구20.

∙주세형(2003), 국어지식 영역의 패러다임: 구조와 기능, 교과교육학연구7(2).

∙주세형(2000), 사용자 중심의 국어 사전, 한국어의미학7.

∙주세형(1999), 바람직한 국어 사전을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9.

 
저서

∙최미숙·원진숙·정혜승·김봉순·이경화·전은주·정현선·주세형(2023), 국어 교육의 이해(제4판), 사회평론아카데미.

∙류수열·주세형·남가영(2021), 국어교육 평가론, 사회평론아카데미.

∙민현식·신명선·주세형·김은성·남가영·이관희·강보선·제민경·이지수·조진수(2020),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 사회평론아카데미.

∙주세형·김은성·남가영(2019), 장르, 텍스트, 문법: 작문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로서의 문법, 사회평론아카데미.

∙민현식·구본관·민병곤·김호정·권순희·왕단·박재현·조형일·주세형·신명선(2018), 국어 의미 교육론, 태학사.

∙최경봉·김윤신·이동석·주세형(2017),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육론, 창비교육.

∙김용진·김형석·주세형·이용수·최대혁·홍성찬·정성훈·윤영길·김영석·정기동·김명환(2016), 대한민국 축구, 나무와숲. 

∙주세형·남가영(2013), 국어과 교과서론, 사회평론.

∙주세형(2006), 문법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