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진
-
장대업 교수
Tel 02-705-7988 Email dc13@sogang.ac.kr Specialty 한국발전, 노동, 이주, 정치경제학 Room No. X404
프로필 | 장대업 교수는 2015년부터 글로벌한국학과에서 한국의 개발과 정치경제를 가르치고 있다. 글로벌한국학과에 자리잡기 전에는 영국 런던대학교의 아시아 아프리카 대학 (SOAS)의 개발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하며 동아시아 발전과 개발, 노동, 이주, 국가이론, 정치경제학을 가르쳤다. 그는 서강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졸업 후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와 박사를 수여 받았으며 그 후 홍콩에서 비정부기구 Asia Monitor Resource Centre의 연구주임, 홍콩대학의 아시아센터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제직하였고 홍콩 성시대학에서 강의하였다. 개발, 이주, 노동, 국가에 관련된 저서와 논문들은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등에 실려 있으며 대표작으로 Capitalist Development in Korea: Labour, Capital and the Myth of Development State (2009, London: Routledge) 이 있다. 현재는 한국의 자본주의적 발전이 아시아 극빈국의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이주, 투자, 원조의 세가지 각도에서 고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
약력 | 경력
교수, 글로벌한국학 전공, 서강대학교 (2020~) 부교수, 국제한국학 전공, 서강대학교 (2015-2020) 부교수, Department of Development Studies,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011-2015) 조교수, Department of Development Studies,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008-2011) 박사후연구원, Centre of Asian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2008) 연구주임, Asia Monitor Resource Centre, Hong Kong (2003-2006).
학력
박사, 사회학과, University of Warwick, UK (1999-2003) 석사, 사회정치사상, University of Warwick, UK (1998-1999) 학사, 독어독문학, 서강대학교 (1991-1997)
학술활동
편집위원장, Asian Labour Review (2022~현재) 편집위원, Europea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2019~현재) 편집위원,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5~현재) 교신편집위원, Historical Materialism: Research in Critical Marxist Theory (2015~현재) 시리즈 편집위원, Series in Asian Labor and Welfare Policies, Springer (2016~현재) 편집위원, Historical Materialism: Research in Critical Marxist Theory (2000~2003; 2008~2015)
|
|
연구내용 | Research Grants and Projects
2021 노동의 대륙: 식민주의적 통합에서 신자유주의적 부상까지, 한국연구재단 저술출판지원사업 (2021~2024), (2022S1A6A4043158) 2019 초국적 노동체제와 지속가능한 발전: 양질의 고용을 통한 동남아시아 진출 한국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공헌 분석,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자) 2015 Assessing the Employment Impact of Chinese Firms in Sub-Saharan Africa, DFID/ESRC China-Africa Research Programme (Co-investigator). 2011 Labour Conditions and the Working Poor in China and India, ESRC/DFID joint scheme for research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poverty alleviation) (Co-Investigator) 2007 Asia in the Global Factory, Centre of Asian Studies, funded by The University of Hong Kong CRCG Small Project Funding. (Principal investigator). 2007 Transformation of Labour, Asian Developing Countries in Globalisation’, Centre of Asian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funded by Hang Seng Bank Golden Jubilee Education Fund for Research. (Principal investigator). 2006 Construction TNCs and Workers in Asia, Asia Monitor Resource Centre, funded by Building and Wood Workers International. (Principal investigator). 2005 Post-Socialist Trade Unions, Low Pay and Decent Work: University of Warwick, International Cooperation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Labour Vietnam, Beijing Remin University, and Asia Monitor Resource Centre, funded by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Council (ESRC UK). (Regional Coordinator)
Award
2009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Best Article Award Winner in 2009, with ‘Informalising Labour in Asia's Global Factory’,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Vol. 39, No. 2, pp. 161-179.
PhD Supervision
2012-2017 Farwa Sial, Department of Development Studies, SOAS. Thesis Title: The Internationalisation of the Korea Developmental State: The Role of Development Aid. 2012-2017 James Brown, Department of Development Studies, SOAS. Thesis Title: Reworking Territory, Assembling Scale: Labour’s Agency in Lao Border Manufacturing. 2011-2016 Shuwan Zhang, Department of Development Studies, SOAS. Thesis Title: Industrialising China, Escaping Labour: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Agency of Migrant Labour in Guangdong, Zhjiang and Jiangsu Province. 2011-2016 Jan-Frido Wenten, Department of Development Studies, SOAS. Thesis Title: Reinventing the Wheel: Labour, development and global car production in post-1970s China and Mexico. |
|
저서 | 저서
장대업 (2023) 『동아시아 자본주의: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진인진 (공저) 장대업 (2023)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 진인진 (공저) 장대업 (2017) 『어서와요 노동존중 CSR』, 해피스토리 (공저) 장대업 (2016) 『대안사회경제를 위한 여정』, 한울 (공저) 장대업 (2015) 『자본의 세계화와 한국사회 계급구조 변화』, 한울 (공저) 장대업 (2014) 『세계화와 계급구조의 변화: 국제사례 연구』, 한울 (공저) 장대업 (2012) 『세계화와 계급구조의 변화: 이론적 접근』, 한울 (공저) Chang, Dae-Oup (2009) Capitalist Development in Korea: Labour, Capital and the Myth of the Developmental State. London: Routledge. (Routledge Advances in Korean Studies) 편집서
Dae-oup, Chang, ed. (2010) 全球化下的亞洲跨國企業勞工:抗爭的圖像. Taipei, Taiwan: 台灣社會?究雜誌社. Chang, Dae-oup, ed. (2008) Samsung in Asia: Transnational Samsung and Asian Workers (Asiaro gan Samsung). Seoul, Korea: Humanitas. Chang, Dae-oup, ed. (2006) Labour in Globalising Asian Corporations: A Portrait of Struggle. Hong Kong: Asia Monitor Resource Centre. Chang, Dae-oup and Shepherd, Ed, eds. (2005) Asian Transnational Corporation Outlook 2004: Asian TNCs, workers and the movement of capital. Hong Kong: Asia Monitor Resource Centre. (Asian TNC monitoring network book series) 북쳅터
Chang, Dae-oup (2024) ‘Transnational Labor Regimes and the Cambodian Case of Asianizing Capitalist Development’, in Chang, K.-S., Kim, T. and Lee, J. (eds) Asianization of Asia: Regional Dynamics and Korean Parameters, London: Routledge, forthcoming Chang, Dae-oup (2024) ‘Rethinking Asian Labour Movements in the Age of Decaying Neoliberalism’, in Jeong, S. and Saito, K. (eds.) Capitalism and Postcapitalism in East Asia: Marxist Perspectives, London: Routledge, forthcoming Chang, Dae-oup (2022) 'Korean labour movement: the birth, rise and transformation of the democratic trade union movement', in Lim, S. and Alsford, N. J. P. (eds.)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South Korea. London: Routledge, pp. 159-174. Chang, Dae-oup (2022) ‘The Continent of Labour and Uneven Development: The Making of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in East Asia’, in Baglioni, E., Campling, L., Coe, N. M. and Smith, A. (eds.) Labour Regimes and Global Production, Newcastle: Agenda Publishing, pp. 137-153. Chang, Dae-oup (2016) ‘Labor Rights and Trade Unions in Cambodia’, in Brickell, Katherine and Springer, Simon (eds.) The Handbook of Contemporary Cambodia, London: Routledge, pp. 191-201 (with Dennis Arnolds). Chang, Dae-oup (2015) 'East Asia: A Slippery Floor for the 'Left'.' In: Marois, Thomas and Pradella, Lucia, (eds.), Polarising Development: Alternatives to Neoliberalism and the Crisis. London: Pluto Press, pp. 180-191. Chang, Dae-oup (2014)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East Asian labour migration: a crisis of migration or struggles of labour?' In: Lindley, Anna, (ed.), Crisis and Migration: Critical perspectives. London: Routledge, pp. 93-114. (Routledge Studies in Development, Mobilities and Migration)
학술지 논문
Chang, Dae-oup (2022)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and Neo-liberal Development in Cambodia’,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52(1): 45-70. Chang, Dae-oup (2018) ‘발전의 발명과 변태: 인공적 구성물로서의 발전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제와 사회, 120: 229-267 (in Korean) Chang, Dae-oup (2018) ‘한국 혹은 동아시아 자본주의에 대한 몇 가지 외부적 시각에 관하여', 마르크스주의연구, 15(1): 202-247 (in Korean). Chang, Dae-oup (2017) ‘Subversive Migration, Citizenship from Below and Democracy against Bordered Capitalism’,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32: 253-283. Chang, Dae-oup (2017) ‘Informal Exploitation and Unregulated Expansion: Assessing the Construction Labour Regime in Contemporary China’, Marxism 21, 14(1): 292-334. Chang, Dae-oup (2016) 'From a Global Factory to Continent of Labour: Labour and Development in Asia', Asia Labour Review 1: 1-48. Download here /_PROGRAM_FCKeditor_UserFiles/files/01-alr-v1_chang.pdf Chang, Dae-oup (2012) 'The neoliberal rise of East Asia and social movements of labour: four moments and a challenge.' Interface: a journal for and about social movements, 4 (2): 22-51.
기타 아티클
Chang, Dae-oup (2023) 'Raids on KCTU, Neoliberal Crisis and Popular Authoritarianism in South Korea: An Explainer', Asian Labour Review, https://labourreview.org/raids-on-kctu/ Chang, Dae-oup (2022) ‘Asian Labour Movements in the Age of Decaying Neoliberalism’, Asian Labour Review, https://labourreview.org/challenges-to-the-asian-labour-movements/
학술대회 발표 및 초청강연
‘Continent of Labour: New Historiography for Asian Labour Movements’, Labor Movements in East Asia: Mobilizing Against Inequality amid Political Change, National Taiwan University, 22 September 2023. Rethinking Asian Labour Movements in the Age of Decaying Neoliberalism, Historical Materialism Conference in East and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Indonesia, 25~26 August 2023. ‘Asian Labour in the Age of Decaying Neoliberlaism: Implications for Asia’s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The Japan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Spring Convention, Tokyo University, Japan, 10 June 2023. ‘Challenges to Asian Labour Movements in the Age of Decaying Neoliberalism’, 2023 SSK International Conference: Capitalism and Marxism in East Asia: Past Present, and Fu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 May 2023. ‘The Origins of the Labour Paradox in the Rise of East Asia’, Industrialization & Labour in Contemporary Asia, Università di Napoli L’Orientale, 17 April 2023. ‘Korean Capitalism and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in East Asia’, Webinar Series of the Centre for Asian Studies, University of Pretoria, South Africa, 22 February 2023. ‘The Sinking of the M. V. Sewol and the Rise of Authoritarian Neoliberalism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Capitalism and Marxism, University of Tork, Canada, 29 January 2023. ‘Encountering Easts Asian Capitalism: Problems of Global Factory Literature, Their Origins, and Beyond’,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SSK Research Cluster Seminar Series, 27 April 2022. ‘Asia as an Arena of the Construction of Class Relations”, Special Lecture Series at Department of Soc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6 April 2022. ‘Uneven Development and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in East Asia’, Historical Materialism East Asia Conferenc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1 August 2021. ‘The World of Commodities and East Asian Labour: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and Uneven Development in East Asia’, Workshop on Materiality and Materialism,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7 May 2021. ‘Regionalism, Uneven Development and the Changing Territoriality of Labour Regimes’, The Arab Council for Social Science “New Regionalisms” Workshop, 27 March 2021.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and the Multiplication of Labour in East Asia’, Agency in the Era of Labour Regime Multiplications,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4 June 2019.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and the Mutation of Neoliberal Development in Cambodia’, Lecture for the Centre on Labour and Global Production, Queen Marry University of London, 10 January 2019.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Migrant Labour and the Changing Territoriality of Korean Development’, Lecture for the Centre for Migration and Diaspora Studies, SOAS, University of London, 9 January 2019.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and the Mutation of Neoliberal Development in Cambodia’, International Workshop on Conceptualising Labour Regimes and Global Production, Queen Marry University of London, 8 January 2019. Korean Capital, Asian Labour: The Unknown Asianisation of South Korean Development, 30th SASE Annual Meeting – Global Reordering: Prospects for Equality, Democracy and Justice, Doshisha University, Japan, 23 June 2018. Can Korea be a Good International Developer? An Analysis of Korea’s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Conference of Korean Critical Sociology Associ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1 October 2017. ‘The Labour Movement in the Era of Transnational Labour Regime’, International Workshop on Labor Right and Economic Development Trajectories in Mekong Asia, Cambodia/ Phnom Penh, 17 February 2017. ‘Cambodian Development and Transnational Labour Regimes in East Asia’,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City University of Seoul, Korea, 16 December 2016. Cambodian Development and the East Asian Transnational Labour Regime, International Workshop on Capitalist Trajectories in Mekong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Amsterdam, Netherland, 7 November 2016. ‘Bordered Capitalism, Citizenship and Subversive Migration’, International Rosa Luxemburg Conference,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Korea, 27 November 2015. ‘Labour Conditions and the Working Poor in China’s Construction Sector’, Lecture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Labour Markets, University of Reading, 16 October 2014. ‘East Asian Labour Migration in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other Crisis of Migration or Emerging Struggles of Migrant Workers?’,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Issues of Capitalist Globaliz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7 June 2013. ‘State and Development: the Developmental State Debate’, Lecture for the Faculty of Arts and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aastricht, Netherland, 25 February 2013. Uneven Development and the New Regional Division of Labour in Integrating Asia, Lecture for the Research Seminar Series, Department of Geography and Environment, LSE, 22 January 2013. ‘The Rise of East Asia and Social Movements of Labour’, Lecture for the Workshop of the Conference for Socialist Economists, University of York, UK, 27 April 2012. ‘Opportunities for LDCs in Integrating East Asia: From New Regional Division of Labour to Inclusive Regional Development Network’, Lecture for the Institute of Social Science, Gyeongsang University, Jinju, Korea, 30 June 2011. ‘Researching the Rise of East Asia’, Lecture Series at the Faculty of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Cagliari, Sardinia, Italy, 4 April – 17 April, 2011. ‘The Rise of East Asia and Classes of Informal Labour’, Lecture for Sawyer Seminar,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4 February 2011 |
|
인터뷰 | ODA Watch Newsletter (OWL)115호에 실린 인터뷰
발전과의 대화③ 발전은 왜 '노동'을 말해야 하는가
지난 2013년 4월, 방글라데시 다카 인근에서 의류공장 ‘라나플라자’가 붕괴되면서 1,136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또, 같은 해 연말에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당시 95달러였던 최저임금 인상을 주장하는 의류노동자들의 시위가 있었고, 유혈진압 과정에서 네 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이외에도 아시아 지역에서 노동참사는 비슷한 양상으로 되풀이되고 있다. 과연 이러한 문제는 비단 한 국가내의 노동 문제일까? 그저 ‘우연하게’ 일어난 불행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고자 장대업 교수를 찾았다. 장대업 교수는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비교노동학으로 사회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홍콩의 아시아노동정보센터(Asia Monitor Resource Centre)에서 아시아 지역의 노동자 연대를 기획하는 활동을 했다. 이후 영국 런던대학교의 아시아아프리카대학(SOAS) 개발학과에서 동아시아 발전과 개발, 노동, 이주 등을 가르치다 작년부터는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에서 한국의 개발과 정치경제를 가르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장대업 교수와 ‘발전’에 대해 나눈 대담결과와 2016 ODA Watch 집중워크숍 ‘개발을 넘어 발전을 이야기하다’ 중 장대업 교수의 강의내용을 통해 발전 담론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 살펴보고, 발전과 노동의 관계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 대담중인 장대업 교수와 ODA Watch 이재원 팀장, 한재광 대표(왼쪽부터) ©ODA Watch
ODA Watch: ODA Watch는 지난 10년간 ‘시민들의 ODA 감시가 필요하다’는 모토로 국제개발협력 정책감시 활동을 우선으로 해왔다. 그런데 이제 질적으로도 한층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development’를 개발원조로 좁게 보는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관점을 포괄하는 ‘발전’으로 가야하고, 이러한 전환을 주장하는 것이 앞으로 우리의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장대업: 먼저 ODA Watch가 국제개발협력에서 시작해 ‘발전’까지 오게 된 것이 개발학(development studies)이 발전해 온 과정과 흡사해서 흥미롭다. 자본주의적 경제발전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한 과정으로 개발학이 등장했고, 최근에는 그 과정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발전이 뭔가?’하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ODA Watch도 마찬가지로 감시를 하다 보니 과연 이것이 옳은 것을 추구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질문하게 되고, 대안을 찾다 보니 그 ‘틀’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이제는 ‘발전’까지 이야기하게 된 것 아닌가. 이렇게 순환하는 과정이 유사해서 재미있는 것 같다.
주로 ‘development’ 개념을 ‘D’, ‘d’ 두 개로 얘기하는데, ‘D’도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로 우리가 흔히 ‘d’로 알고 있는 개념은 원래 내재적 발전(immanent development)으로, 돌고 도는 순환으로서의 발전을 의미하며 진보를 전제로 한다. 두 번째는 자본주의적 산업화를 위해 계획적으로 개입하는 것(intentional development)으로, 한국과 같이 발전과정에서 국가가 집단적이고 의도적으로 개입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자본주의적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온갖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치유로서의 발전으로, 요즘의 발전 논의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영역이다.
ODA Watch: 그 지점에서 ‘development’를 발전이라고 정의할 때, 우리가 탈개발주의(post-development)나 반개발주의(anti-development), 혹은 생태주의 등과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다.
장대업: 우리가 치유로서의 발전을 이야기하면서 학교나 병원 짓는 얘기만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저는 진보를 전제로 한 내재적 발전을 인정하는 편이다. 여기서 진보는 분명 ‘성장’과는 다른 개념인데, 사실 진보의 내용이나 형식이 문제인 것이지 그 자체를 부정한다면 발전에 대한 논의를 별로 할 필요가 없다. 오늘날 나타나는 극단적인 형태의 빈곤은 현대 자본주의의 산물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통사회에서 ‘사람들이 먹고 사는 것이 충분했는가?’, ‘자신의 잠재력을 마음껏 표현하고 즐길 수 있었는가?’ 하면 꼭 그렇지는 않았다. 대부분 노예 상태에서 자유가 없었고, 제대로 자신의 삶을 영위할 만큼의 수명도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사회 자체를 비전으로 책정하기는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진보를 전제로 한 내재적 발전은 필요하다고 보지만, 진보가 반드시 물질적 생산능력의 향상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가령 ‘개발도상국의 산업화 역량을 강화해야 하는가?’와 같은 논쟁에서 ODA Watch는 지속가능한 산업화 역량을 추구하되, 우리의 목표는 자본주의적 산업화가 아니라 ‘웰빙’이며, 빈곤이 해결되는 사회라는 것을 분명하게 해야 할 것이다.
ODA Watch: 좁은 의미의 전통적인 개발에서는 ‘노동’을 개발의 영역으로 보지는 않았는데, 총체적인 발전의 맥락에서는 노동과도 밀접한 연결고리가 있을 것 같다. 구체적으로 발전과 연결된 노동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면 좋을지 궁금하다.
장대업: 한국은 선진국 코스프레와 개도국 코스프레를 동시에 하고 있는 듯하다. 한국의 개발경험을 수출할 때는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최초의 나라”라고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주겠다는 자세로 나가면서 인권, 노동권, 환경 등의 얘기가 나오면 “우리도 아직 먹고 살기 바쁘다”라며 한발 뺀다. 한국의 발전상태를 그대로 잘 보여주는 셈인데, 노동이 갖고 있는 기술은 선진국 수준인데 반해 노동이 갖고 있는 권위나 분배는 그에 비해 한참 부족한 편이다.
사실 모든 발전 논의도 다 노동 문제와 아울러져 전개되어 왔다. 내재적 발전도 노동에 기반하고 있고, 의도적인 개입으로서의 발전도 노동을 어떻게 조직하느냐의 문제이다. 치유로서의 발전에서도 첫 번째 대상이 ‘도시 빈민’이었다. 치유로서의 발전이 갖고 있는 한가지 맹점은 제3세계 도시빈민은 아무 힘이 없고 우리가 돌봐주는 신탁행위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빈민들이 주체성을 가지고 조직해서 싸우지 않았더라면 애초에 치유로서의 발전은 나오지도 않았다. 그 과정에서도 제일 큰 사회운동으로 노동운동이 자리하고 있었다.
ODA Watch: 사실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도 발전 논의와 연결되는데, 아직 한국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그럼에도 우리가 이야기하는 논의의 뿌리가 여기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고 본다. 식민주의가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장대업: 식민주의가 남긴 것은 개발행위가 반영구적인 신탁행위가 되었다는 것 그리고 기존의 국내 경제에 머물렀던 개발이 국제화되었다는 거다. 식민지 개발은 오로지 식민모국의 의지와 필요에 따라서 진행되어왔다. 이에 따라 개발의 방향성도 일방적인 관계로 다 정해지게 되었다. 이쪽에서 저쪽으로 한 방향으로만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한국의 개발협력 사업만 하더라도 개도국에서 배우려는 것은 없다. 그들이 갖고 있는 사회의 고유한 상호부조 방식이나 자연재해를 해결하는 방식, 이를테면 자연재해로 인한 극심한 빈곤상황에서 사람들의 나눔의 방식은 공동체마다 다 다른데, 이러한 다양성을 배우고 현대사회에 맞게 제도화하는 노력은 전혀 하지 않고 있다. 이것이 다 식민주의의 산물인 셈이다.
사실 빈곤 자체도 식민주의의 산물이다. 일반적으로 개도국의 산업은 선진국의 필요에 따라 1차상품 생산에 집중되는 아주 기형화된 구조이다. 식민지에서 해방된 이후에도 이러한 산업구조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1차 상품의 국제시장은 전부 선진국이 갖고 있고, 선진국 시장의 수요에 따라 개도국의 국민소득이 좌지우지되는 것이다. 자생적 산업화를 하기 위해서는 값싸고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1차 상품을 팔아서 비싼 공업제품을 들여와야 하는데, 그게 계속 외채로 불어나면서 빈곤을 만들 수밖에 없는 산업체제가 된 것이다.
ODA Watch: 말씀하신 부분이 새마을운동, 코리아에이드와 같이 한국의 개발경험을 전수하고 이식하려고 하는 한국의 개발협력 행태와도 연결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왜 한국 국제개발협력이 더 넓은 관점에서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장대업: 발전주의 때문이다. 한국사회에는 무엇을 하든 발전만 하면 된다는 생각이 공고하게 박혀있다. 한국의 개발경험이 갖고 있는 문제로 인해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발전주의에 함몰돼있는 것이 문제지만, 그렇다고 너무 조급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이제부터라도 천천히 만들어가면 된다는 생각이다.
▲ 집중워크숍 강의중인 장대업 교수 ©ODA Watch
덧붙여 장대업 교수는 지난 8월 23일, 2016 ODA Watch 집중워크숍 ‘개발을 넘어 발전을 이야기하다’에서 ‘노동의 눈으로 본 발전’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대담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한 발전과 노동의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들어봤다.
발전이 노동을 대하는 태도: 노동에 대해 말하지 않기
2013년 발생한 방글라데시 라나플라자 의류공장 붕괴는 발전과 노동의 현 주소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값싼 의류 생산국 중 하나인 방글라데시에서는 노동자들이 하루 평균 10시간을 일하고도 월 $68의 저임금을 받는다. 주로 Mango, Zara 등과 같은 세계적인 브랜드 의류를 생산하는 이들은 라나플라자 붕괴 당시 건물의 결함을 알고 있었음에도 공장주들의 압력으로 일을 계속하다 변을 당했다. 이러한 ‘산업참사’는 노동이 하나의 경제적 요소로 취급되는 한 반복해서 벌어질 수밖에 없는 현상이며, 1990년대 이후 값싼 노동을 유일한 비교우위로 하여 낙수효과를 기대하는 ‘신자유주의적 게임의 룰’을 따르면서 더욱 심각해진다.
이러한 현실은 이론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주류 발전담론은 발전이 기술, 자금, 올바른 거버넌스를 조합한 결과 혹은 시장과 국가간의 균형에 의해서만 진행되는 것이라고 본다. 즉, 발전 과정에서 ‘노동’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노동자들은 당연히 그 일을 좋아할 것이다’라는 노동에 대한 복종이 당연하게 전제된다. 발전 담론에서는 노동이 토지, 자본과 함께 하나의 생산요소로만 등장하는 ‘방법론적 자본주의’가 지배적이며, 실제 자본주의가 노동을 다루는 것처럼 발전 속에서 노동의 역할과 의미를 다루지는 않는다.
발전과 노동의 관계: 발전은 필연적으로 노동과정
기본적으로 발전과 노동의 관계에 있어서 모든 발전은 필연적으로 인간이 노동하는 과정이다. 가령 내생적 발전은 한 사회가 진보해가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노동을 통해 가치를 창출해나가는 과정이다. 현재의 자본주의적 발전에서도 기술과 자금, 다른 생산요소들을 통합하여 처리하고 부가가치를 더해 이윤을 창출하는데, 이것 또한 노동의 과정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 노동과정으로서의 발전이 종종 인간에게 적대적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발전의 계획은 주로 노동하지 않는 사람들에 의해서 수립되며, 노동주체는 발전계획 수립을 비롯하여 발전과정, 발전의 결과물로부터 소외된다.
원래 ‘발전’은 자연적인 변화, 상승과 하강을 포괄하는 순환적인 개념이었다가 18세기에 이르러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진보’라는 방향성을 가지게 되고, 그 영향으로 18-19세기 학자들은 진보적 변화, 향상적 변화를 곧 발전으로 여기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진보의 시대는 한편으로는 사회적 불안의 시대였다. 도시로 몰려든 노동자들이 극단적 빈곤, 슬럼, 전염병에 시달리게 되면서 사회적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의도적인 개입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후 진보에게 질서를 부여하는 행위로서의 ‘개발’이 등장하게 되었다. 노동은 능력이 있는 사람들에 의해 ‘개발’됨으로써 발전과정에 동참하게 되었고, 추후 식민지 경영을 통해 이러한 신탁적 개발이 국제적인 행위가 되었는데, 이것이 현재 국제개발(International development)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노동을 수단으로 보는 초국적 노동레짐의 탄생
국제개발(International development)에서는 개발의 효과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강조하는 한편, 개발과정에서의 노동은 무시하면서 노동과 관련 없는 척을 한다. 투자와 무역, 이주노동, 국제개발협력 등 국제개발의 다양한 경로들을 통해 노동과 발전의 관계가 특정하게 맺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국제개발은 ‘초국적 노동레짐’을 만든다. 예컨대 한국 기업이 캄보디아에 가서 현지노동을 고용할 경우 보통 캄보디아에서의 자본 창출에 대해서만 이야기하지만, 여기서 얻어지는 이윤이 한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이 캄보디아의 고용과정에서 창출하는 이윤은 한국의 발전과도 연결되는 부분이다. 즉, 개발도상국이 한국의 발전과도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초국적 노동레짐은 현지 노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현지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캄보디아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초국적 노동레짐을 이해할 수 있다. 캄보디아도 방글라데시와 같이 값싼 노동을 비교우위로 삼아 의류산업에 집중하는 국가로, 약 47만명의 노동자들이 의류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의류산업은 캄보디아 전체 수출의 80%를 차지해 캄보디아의 경제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공장은 대부분 캄보디아가 아닌 중국, 대만, 홍콩, 한국, 일본 등의 외국기업들이 소유하고 있는데, 이들이 캄보디아 노동자를 고용하면서 위계적인 초국적 노동레짐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동아시아 부국들의 성장을 돕는 초국적 노동레짐은 최저임금을 생활임금으로 간주하고, 열악한 노동조건을 개선할 의지가 없으며, 노동조합을 만들지 않는 등의 나쁜 관행을 갖고 있다. 그 결과로 2013년에는 캄보디아 의류노동자들이 95달러의 최저임금을 160달러로 인상할 것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게 된다.
그렇다면 이처럼 초국적 노동레짐에서 나타나는 ‘희생을 담보로 한 발전’에 대한 대안은 있을까? 이에 대해 칼 폴라니(Karl Polanyi)는 노동의 탈 상품화를 주장하고, 아마티아 센(Amartya Sen)은 인간 개개인의 잠재력 실현이 곧 발전이라는 의미에서 노동의 희생을 담보로 한 발전은 무의미하다고 보았다. 최근 벤 셀윈 (Ben Selwyn)과 같은 학자들은 노동의 시장과 국가에 대한 민주적 관리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개발을 대안으로 제안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는 발전 담론의 ‘방법론적 자본주의’에서 탈피하여 착취의 대상이자 노동의 희생을 전제로 하는 발전의 수단이 아니라, 발전의 현재적 목표로서 노동을 재정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발전은 왜 ‘노동’을 말해야 하는가?
캄보디아는 한국의 ODA 자금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중점협력국이자 가장 많은 개발NGO들이 활동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한국 기업들이 캄보디아에 진출해 의류를 생산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캄보디아 노동자들이 경제발전을 위해 인권과 노동권을 희생하고 있다. 과연 우리가 캄보디아에서 개발협력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는 것만으로 캄보디아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노동’은 그 동안 미처 보지 못했던 발전의 이면을 드러냄으로써 우리에게 또 다른 질문을 던진다. 이것이 바로 발전이 ‘노동’을 말해야 하는 이유이자, 우리가 개발에서 벗어나 포괄적인 발전의 방향으로 관점을 넓혀가야만 하는 이유일 것이다.
기사 입력 일자: 2016-08-30
|